Programming

제품의 탄생

halatha 2022. 12. 31. 23:17

1부 성공적인 제품의 탄생

1장 성공적인 프로덕트란

프로덕트 성공을 위한 3요소 (1) 비전(2) 사용자 가치 (3) 사업 수익

제품 시장 적합화란 강력한 가치 가설을 찾는 것. 가치 가설이란 왜 사용자와 고객이 당신의 프로덕트를 사용하는가를 설명하는 중요가설

2장 PM의 역할

즉 PM을 '작은 CEO'라고 부르는 이유는 'PM이 마치 CEO처럼 프로덕트 성공을 자기 일처럼 완수하는 열정과 강한 흥미, 호기심을 지닌 관리직'이기 때문일 뿐이며, PM에게 CEO와 동일한 수준의 권한이 부여된다거나 책임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 이 책은 PM과 PO의 구분이 다소 불명확하다(혹은 꽤 공통 부분이 많다고 본다). 이 설명도 다른 책에서는 보통 PO에 대해 많이 쓰는 표현

프로덕트는 프로젝트를 포괄하는 더 크고 넓은 개념

프로덕트 팀 구성원에 대한 인사권은 기능형 조직의 부서장에게 있으며 PM은 인사권을 발휘하지 못한다.

3장 PM의 직무와 역량

프로덕트에 관한 의사결정 하나하나에 대한 근거에는 연쇄적으로 연결된 가설이 있다.

소프트 스킬 soft skill 커뮤니케이션 능력, 심리적 안정에 대한 이해, 타인과의 협상력

하드 스킬 hard skill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와 데브옵스DevOps 등 운영 방식에 대한 이해

2부 프로덕트 만들기

4장 프로덕트 관리를 위한 4가지 단계

처음에 정한 일정을 그대로 시행하겠다고 고집을 부려서는 안 된다. 프로덕트 만들기는 곧 가설 검증

5장 핵심 Core

비전 달성이라는 목표뿐만 아니라 비전을 달성하기까지의 과정에도 PM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트레이드오프 슬라이더 trade-off slider (품질 · 기간 · 범위 · 예산의 4가지 사항에 대해 슬라이더 형식으로 우선순위를 정하는 도구)

6장 기획의도 Why

사용자에게 가치를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아이디어뿐

프로덕트 미션과 비전을 충족하지 못했다면 장기적으로 그 가치를 지속해서 제공하기는 어려울 것

'비전'이란 결국 '누구'를 '어떤 상태로 만들고 싶은가'

7장 구상 What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상태로 만들고 싶은가'

구성원도 로드맵에 대한 이해를 갖춰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팀원이 자신이 맡은 작업의 우선순위가 현 단계에서는 가장 높다고 확신하는데, 로드맵에 대한 팀 내 공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탓에 계속 작업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려난다면 불만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는 목표하는 마일스톤에 대한 팀 내 인식이 일치하지 않은 탓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무엇을 목적으로 무엇을 검증하는지, 현재 목표로 하는 마일스톤을 달성하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을 들일지 분명히 정하고, 필요한 기능이 어느 마일스톤에서 실현돼야 할 것인지 등을 팀 내에서 사전에 모두 논의해둬야 한다.

바람직한 North Start Metric NSM의 판단 기준

① NSM 개선이 사용자 경험 향상과 연결되는가

② 사용자가 프로덕트에 정착한 비율을 잘 나타내는가

③ x 축에 시간, y축에 수익과 성장 목표를 그린 성장 지표 그래프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가

④ 수익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선행 지표인가

⑤ 조직 구성원이 이해하기 쉬운가

8장 실현 How

'수용 기준 acceptance criteria' 사용자 스토리가 달성됐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프로덕트 팀을 제외한 대다수 사람은 프로덕트가 출시될 때 처음으로 프로덕트와 새로운 기능을 접하게 되므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주의

구현을 마친 최신 결과물을 써볼 수 있는 환경을 갖춰놓는 편이 신속한 의사결정에도 도움

3부 PM의 필수 덕목, 리더십

9장 PM을 주축으로 한 조직 환경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중요. PM 의사결정 권한 범위와 더불어 무엇을 누구와 상담해 결정할지를 사전에 명확히 해두기

작업량 추산에 관해서는 PM이 보내준(I) 백로그를 바탕으로 엔지니어가 QA 담당자와 협업(C)하면서 실행(R)하고 그 결과를 리드 엔지니어가 최종리뷰(A)

  • scrum에서는 엔지니어가 자율적으로 결정(위의 실행이라고 쓴 부분)하는 게 중요

프로덕트 성공과 엔지니어링 조직 또는 엔지니어 개인의 성장은 서로 상충 관계에 놓이는 경우가 있다.

인사권은 기능형 조직장... PM 또한 팀원의 양성과 평가에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한다.

  •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 PM이 개발자(혹은 디자이너) 출신이 아닌 이상 해당 직무에 대한 평가는 명확히 하기 어렵고, 결국 산출물만을 가지고 평가하기 쉽고, 장기적인 관점을 갖기 어렵다.

타인을 통솔할 때 필요한 능력

신뢰는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는다. '신뢰자본'이라는 말처럼 우리는 커리어를 거치며 차츰 신뢰를 쌓아간다.

권력, 보상 - (PM에게는 이 권한이 주어지지 않는다)

극단적인 상향식 관리. 부서를 넘나드는 연대의식 또한 기대하기 어려우며, 이른바 사일로화 siloed가 일어난다.

PM은 자신의 팀 조직 휘하에 부하 직원들을 거느리긴 하지만 엔지니어나 디자이너 등 프로덕트 팀 구성원에 관한 인사권을 행하는 경우는 드물며, 명시적 권한이 주어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개인적으로는 갖는 경우를 단 한 번도 들어보거나 경험한 적은 없다.

10장 팀 빌딩을 위한 리더십

프로덕트 정보의 투명성, 커뮤니케이션 공유, 회의록, 채팅 그룹, 메일

성과가 우수한 팀

① 심리적 안정감

② 신뢰감

③ 조직 구조와 투명성(업무에 대한 기대치와 OKR (목표와 핵심 결과)을 활용한 목표 설정)

④ 일의 의미(일을 하는 이유)

⑤ 일의 영향력(성과에 따른 영향)

좀 지나치다 싶을 정도까지 소통하는 편이 좋다.

공통의 가치관을 공유하기 위해 해당 가치관이 담긴 책을 선정해 함께 읽어보기 바란다.

  • scrum을 한다면 scrum guide부터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삼기 위해 기능, 품질, 마감, 예산의 4가지 항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해두면 좋다.

11장 원활한 팀 소통을 위한 5가지 기술

엔지니어와 디자이너, 기타 이해관계자 리뷰도 반드시 거치기 바란다.

간명한 스토리란 강한 핵심 메시지와 함축적인 정보량으로 성립

4부 프로덕트 속성과 생태계에 따른 각양각색 PM의 역할

12장 프로덕트 성장 시기에 따른 PM의 역할

13장 비즈니스 유형에 따른 PM의 역할

14장 경험해보지 못한 사업 분야에 진출하려면

15장 하드웨어나 AI 관련 PM의 역할

5부 PM과 조직의 성장

16장 프로덕트 관리와 조직

'프로덕트 지향적' 모든 구성원이 프로덕트 가치를 이해하고, 프로덕트 성공을 위한 비전 달성과 사용자 가치 제고, 사업 수익 향상에 매진

17장 PM의 역량 강화

PM은 정답이 없는 문제를 계속해서 풀어나가야 하므로, 시야가 넓어질수록 깔끔한 해결책을 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18장 커리어관리

시니어 PM, 리드 PM, 총괄 PM은 인사권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인사권을 가진 PM을 보좌하는 형태로 사람과 조직의 성장에 공헌

6부 PM 역량을 드높이기 위한 필수 지식 총정리

19장 PM이 알아야 할 기초 비즈니스 지식

새로운 기능이 제공할 가치 vs. 해당 기능을 구현하는 데 드는 비용

반복해서 볼 숫자라면, 필요한 데이터를 그래프로 만든 다음 한곳에 모아 대시보드를 구축

20장 PM이 알아야 할 기초 UX/마케팅/법률 지식

PM은 프로덕트의 전체 구성과 데이터 흐름을 명확하게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business에 대한 flow diagram을 그리는 것

로그 log나 트랜잭션 transaction 이 시계열로 정리돼 있지 않으면, 개인정보 보호 법규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데이터를 수집했다고 한들 이를 증명할 방법이 없을 것

21장 PM이 알아야 할 기초 IT 지식

품질을 향상시키는 우선순위의 판단 기준 또한 프로덕트 성공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가치 향상과 사업 수익 향상이라는 2가지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가치를 부족함 없이 제공하는 것이 품질의 역할이라면 그 책임은 프로덕트팀 전원이 짊어져야 한다.

기술 부채를 뒤로 미룰수록 결과적으로는 검증 가능한 가치의 총량이 줄어들 뿐이다. 프로덕트 개발 로드맵을 검토할 때부터 기술 부채 대응에 소요되는 시간을 염두에 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