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France
- Book review
- Software Engineering
- program
- erlang
- management
- Artificial Intelligence
- hadoop
- agile
- Malaysia
- QT
- MySQL
- hbase
- leadership
- RFID
- Kuala Lumpur
- django
- AI
- Python
- ubuntu
- Programming
- essay
- Book
- comic agile
- Linux
- programming_book
- Java
- web
- history
- Italy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347)
5.1 브랜치란 /mysite$ git branch -m master mymaster # 마스터 브랜치명 변경 /mysite$ git branch # 지역 저장소에 있는 모든 브랜치명 출력 RB_1.0.1 * mymaster /mysite$ git branch -m mymaster master /mysite$ git branch RB_1.0.1 * master 5.2 새로운 브랜치 생성 /mysite$ git branch new # new branch 생성 /mysite$ git branch RB_1.0.1 * master new /mysite$ git checkout new Switched to branch 'new' /mysite$ git branch RB_1.0.1 master * new /mysi..
4.1 파일 추가하기 스테이징된 변경 사항: 저장소에 반영하려는 작업 트리의 변경 사항일 뿐, 저장소에 커밋하기 전에 커밋을 준비하는 위치 index.html의 Biography link를 About으로 변경 /mysite-remote$ git add -i # 대화명 모드 실행 staged unstaged path 1: unchanged +1/-1 index.html *** Commands *** 1: status 2: update 3: revert 4: add untracked 5: patch 6: diff 7: quit 8: help What now> 1 # 상태 정보 출력 staged unstaged path 1: unchanged +1/-1 index.html *** Commands *** 1: ..
3.1 저장소 생성 $ mkdir mysite $ cd mysite /mysite$ 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home1/irteam/naver/work/jun/TEST/mysite/.git/ 3.2 변경하기 /mysite$ vi index.html /mysite$ git add index.html /mysite$ git commit -m "add in hello world HTML" [master (root-commit) 3a35bf9] add in hello world HTML 1 files changed, 5 insertions(+), 0 deletions(-) create mode 100644 index.html /mysite$ git log..
Git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prerequisite: python 2.x / asciidoc / xmlto OS: Redhat Linux 2.6.9-67.0.7.ELsmp 1. python 2.6.2 $ wget http://www.python.org/ftp/python/2.6.5/Python-2.6.5.tgz $ tar xvfz Python-2.6.5.tgz $ cd Python-2.6.5 Python-2.6.5$ ./configure --prefix=$HOME/usr/local/ Python-2.6.5$ make install 2. asciidoc-8.5.3 (install, tarball) $ wget http://sourceforge.net/projects/asciidoc/files/asciid..
http://www.gnu.org/s/libc/manual/html_node/Hash-Search-Function.html http://forum.falinux.com/zbxe/?mid=C_LIB&page=7&document_srl=408331
getdate http://www.xnet.fi/susv3/functions/getdate.html http://old.nabble.com/getdate%283%29---format-date-td6441921.html http://www.kernel.org/doc/man-pages/online/pages/man3/getdate.3.html http://publib.boulder.ibm.com/infocenter/zos/v1r10/index.jsp?topic=/com.ibm.zos.r10.bpxbd00/rgdate.htm #define _GNU_SOURCE 500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int argc, char *argv[]) { struct tm *tmp; in..
vi로는 거의 열기 힘든 매우 큰 문서에 NULL character가 있어서 살펴봐야 하는 경우 head나 tail로 redirection을 하면 알 수 있다 ex) head -n [line number] [file name] > [other name] 그냥 head -n [line number] [file name]로 출력하면 stdout에서는 NULL character를 자체적으로 처리해 볼 수가 없다
rsync는 daemon / ssh 방식 두 가지가 있는데, ssh의 경우 ssh public key를 추가해야 접속이 가능 ssh-keygen -y: read private key and print public key 참고: http://zakorea.tistory.com/24 rsync ssh 방식 접속 $ rsync -avz --rsh="ssh -l [id]" [ip]:[src path] [dst path] 참고: http://blueamor.tistory.com/190
2009.11.13~17 서평을 보면 칭찬일색이다. 그럴 수 밖에 없다. 개발하면서 미쳐 깨닫지 못하거나, 알고 있어도 실천하지 못하는 사항에 대해서 집대성을 해 놓은 듯한 느낌이다. 저자들이 말했듯이 분량상 각론에 대해 세부적인 방법론을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이런 것들에 대한 총론을 제공해 독자들의 개발 방법을 뒤돌아보게 만드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론적인 배경도 정말 중요하지만 학교에서 이런 것을 가르치는 과목이 있다면 개발하면서 나타나는 문제들이 그래도 조금은 줄어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두고 두고 읽어봐야 할 좋은 책이다.
BACKUP .screenrc .vimrc .m2/settings.xml 다운로드 바탕화면 0. 설치 관련 참고 http://www.simdoly.com/3755 1. 설치나 사용 중 오류 1) Wubi 사용중 회사 desktop에 wubi를 다운받고 실행을 시켰는데, 이상하게 amd-64bit version을 받아서 진행을 했다. 그냥 냅둬봤더니 결국 설치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로그를 살펴보니 연결된 모든 드라이브의 루트에서 .iso file을 찾은 후, 없는 경우 network을 통해 .iso를 받아 설치를 진행하는 거 같은데 hardware detecting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desktop-i386 version을 받아, USB drive에 넣은 후 다시 실행을 했더니 e:\에서 .i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