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QT
- psychology
- hadoop
- agile
- Linux
- erlang
- hbase
- essay
- ubuntu
- Spain
- Italy
- history
- MySQL
- Malaysia
- Book review
- Java
- Python
- Kuala Lumpur
- web
- Software Engineering
- management
- France
- Programming
- Book
- programming_book
- comic agile
- RFID
- django
- program
- leadership
Archives
- Today
- Total
제텔카스텐 슬기로운 메모 생활 how to take smart notes 본문
- ★★★☆☆ January 6, 2025 → January 8, 2025
- pp170~171 뇌, 우리 정신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외부 발판이 필요하고, 이게 일반적으로 글쓰기라는 이야기. 그 대표적인 인물이 리차드 파인만. 파인만의 글쓰기는 작업을 기록하는 게 아니라, 그 자체가 일하는 것이고 작업하는 것이라는 말
- p198 키워드를 정하는 작업은… 생각하는 과정의 중대한 한 부분 - 어떻게 보면 당연한게, 몇 개의 키워드로 문장을 정리한다는 건 일종의 summary, 대표성을 갖는 단어를 선택하는 작업이므로 생각하는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
- pp228~229, p231 제약이 있어야 오히려 창의력이 발휘된다는 이야기, 대표적인 예로 하이쿠를 들었음
- 창의성과 과학적 진보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것은 오히려 구조와 제약의 결핍
- 구조가 없으면 아이디어를 구별하거나 비교하거나 실험할 수 없다
- 제약이 없으면 무엇이 추구할 가치가 있고 무엇이 그렇지 않은지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을 결코 마주하지 못하게 될 것
- 창의력을 키우려면 모든 제약에서 벗어나 “마음을 열어야” 한다는 일반적인 생각은 정말이지 큰 오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