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rogramming_book
- QT
- erlang
- hadoop
- ubuntu
- management
- comic agile
- hbase
- Kuala Lumpur
- Java
- agile
- MySQL
- France
- essay
- Book
- django
- Software Engineering
- Malaysia
- Python
- Spain
- RFID
- leadership
- Book review
- history
- Programming
- Linux
- Italy
- web
- program
- Artificial Intelligence
- Today
- Total
목록Writing (3)

★★★☆☆ March 19, 2024 이토록 간결한 글쓰기 제주 325.484-로73이 주의집중력에는 본래 한계가 있다 7±2에서 최근에는 4±2개로 더 작은 수를 이야기하는 연구 결과도 있음 → 프로그래머의 뇌 - 재그지그의 개발 블로그 연습을 하다 보면 그 과정을 기계적으로 하게 되어 뇌가 익숙한 두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는 이유는… 주의집중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하는 것은 아무 일도 하지 않은 것과 같다 Publilius Syrus - Wikipedia 동시에 여러 작업을 시도하면 모든 일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명확한 기준점 anchor point이 있을 때 정신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 스트룹 효과 Stroop effect 두 가지 인지 작업에 동시에 집중하는 것이 ..

★★★☆☆ 2023.07.29 coding과 연계하며 읽었는데 어느 정도 맞는 면이 있어서 혼자서 좋아하며 잘 읽었다. 번역체라 그런지 저자가 이야기하는 리듬감을 찾기는 어려웠으나 전반적으로 짧은 문장의 연속이라 읽기는 쉬웠지만 약간 비슷한 의미의 반복이라는 생각도 좀 들었다. 오직 얼마나 좋은 문장인지가 중요 작성하는 code도, product도 품질이 결국 중요하다 인간에게는 언어 본능이 있습니다. 그러나 쓰기 본능이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닙니다... 글을 잘 쓰려면 수년간 노력해야 하며 타이핑 능력은 그 일부분에 불과 무엇이든 작성한다는 건 창작 행위이고 그래서 노력이 필요하다 퇴고란 무한히 반복되는 과정 할 수 있는 한 최종 단계에 가깝게 문장을 써보세요 최종 단계에 가깝게, 즉 customer에게..
https://dgulibrary.tistory.com/822 대통령의 글쓰기 :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에게 배우는 사람을 움직이는 글쓰기 비법 “읽고, 듣기는 결국 쓰고 말하기 위해서다” 저자(강원국 著)는 대우 김우중 회장과 조석래 회장의 스피치라이터를 거쳐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 연설비서관으로 8년간 재직한 매우 독 dgulibrary.tistory.com 1. 말하기를 하고 글쓰기 10시간 정도 말을 할 수 있으면 좀 더 보강을 하면 책을 쓸 수 있음 말하기가 어려운 건 안 해봐서 2. 평소에 쓰기 리더는 말과 글이 준비가 되야하고 그건 자기안에 관점이 있는 것 평소의 준비는 읽기와 쓰기 100개 정도의 단어로 자기 생각을 정리하면 회사 생활에서 필요한 말하기 글쓰기의 소재는 충분할 것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