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sychology
- essay
- Book
- Python
- Italy
- agile
- django
- ubuntu
- hbase
- Java
- history
- Linux
- comic agile
- MySQL
- Programming
- programming_book
- QT
- program
- Kuala Lumpur
- Book review
- Malaysia
- France
- Software Engineering
- management
- web
- hadoop
- Spain
- RFID
- leadership
- erlang
- Today
- Total
목록Product Manager (3)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 골든래빗 ★★★☆☆ January 18, 2024 → January 19, 2024 다양한 PO, PM 출신들의 이야기를 통해 어떤 원칙을 가지고 product 만드는 일을 해야 할지 생각을 하나씩 정리해볼 수 있는 좋은 책 제주 325.571-장95프 컴퓨터 vs 책: [독서광]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뛰어난 팀워크를 발휘하는 팀 다소 비효율적일지언정 할 말을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문화의 집단이 더 성공적, 잡담까지 포함 결국 서로 소통하기 편한 상태가 갖춰져야 한다는 뜻 What Google Learned From Its Quest to Build the Perfect Team - The New York Times 구글의 일 잘하는 팀은 무엇이 다른가 심리적 안전감이란? pp..

장점 확실히 실무를 했던 사람이 쓴 책이라는 느낌이 든다. 전반적으로 다뤄야 할 부분들을 빠짐없이 다루고 있어서, PM을 지향하는 사람에게, 특히 초보/주니어에게 큰 도움이 될만하다 확실히 이제는 이쪽 분야가 전문화가 되어간다는 걸 느끼는게 얼마 전 읽었던 제품의 탄생도 그렇지만, product를 잘 만들기 위해 어떻게 구조적으로 전문적으로 일할지 다루는 서적이 계속 출간된다는 건 발전의 좋은 신호로 생각이 든다. 단점 Agile 전문 서적이 아니니 한계가 있긴 하지만, agile에 대한 언급이 매우 적고, 이에 대해 좀 전문적인 부분은 부족하다. 우리나라가 PO/PM 등의 명칭을 갖는 직책이 늘어나는 건 결국 agile, 특히 scrum의 확산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분야는 매우 약하다. T..

1부 성공적인 제품의 탄생 1장 성공적인 프로덕트란 프로덕트 성공을 위한 3요소 (1) 비전(2) 사용자 가치 (3) 사업 수익 제품 시장 적합화란 강력한 가치 가설을 찾는 것. 가치 가설이란 왜 사용자와 고객이 당신의 프로덕트를 사용하는가를 설명하는 중요가설 12 Things About Product-Market Fit | Andreessen Horowitz 2장 PM의 역할 즉 PM을 '작은 CEO'라고 부르는 이유는 'PM이 마치 CEO처럼 프로덕트 성공을 자기 일처럼 완수하는 열정과 강한 흥미, 호기심을 지닌 관리직'이기 때문일 뿐이며, PM에게 CEO와 동일한 수준의 권한이 부여된다거나 책임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이 책은 PM과 PO의 구분이 다소 불명확하다(혹은 꽤 공통 부분이 많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