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Malaysia
- QT
- MySQL
- Book
- RFID
- agile
- essay
- Italy
- Spain
- comic agile
- Linux
- erlang
- France
- psychology
- Python
- web
- history
- Programming
- Book review
- management
- hbase
- hadoop
- Kuala Lumpur
- leadership
- ubuntu
- program
- programming_book
- django
- Software Engineering
- Java
Archives
- Today
- Total
인공지능, 붓다를 꿈꾸다 본문
불교를 인공지능에 접목해 인공지능의 의미와 방향을 추구(한다고)하는 책. 불교 신자가 아니라지만, 꽤 오랜 시간 불교를 공부한 듯한(내가 불교를 몰라서 평가할 순 없음) 저자는 불교가 과학이고 붓다는 과학자라며, 세상을 보는 인간의 관점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거기에 불교의 사상을 접목해 내용을 전개한다. 하지만, 초반과 달리 읽을수록 왠지 불교 경전을 과학을 접목해 해설한 듯한 느낌이어서 중간정도까지 읽다가 말았다. 대충 훑어본 결과 결말은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해 생길 수도 있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타적 마음을 가진 인공지능을 만들어야 하고 그 바탕은 불교 철학이 되야 한다는 것 -_-a
————————— 초반에 열심히 읽을 때 잠깐 남긴 메모
Homomorphism
Homomorphic model
Isomorphic model
Morphic model
모델러 설명 그림의 출력은 B가 아니라 B'여야 하지 않나?
일체유심조 매트릭스 트론
모델링은 과학 시뮬레이션은 공학(의도가 개입한 모델 활용)
세상에 대한 시스템적 해석 -> 모델 모델에 대한 실험 -> 시뮬레이션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의 세계
아리스토텔레스 기능 중심적 지식 표현을 구조 중심적으로 전환
현대인식론 눈으로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않고 머릿속 정보 = 모델을 통해 직관적이 아니라 추론적으로 세상을 파악
시스템 입력과 출력이 있는 그 어떤 것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