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ubuntu
- comic agile
- erlang
- hbase
- agile
- Python
- Programming
- Software Engineering
- Book review
- Kuala Lumpur
- RFID
- MySQL
- Book
- leadership
- Italy
- management
- Malaysia
- psychology
- essay
- Spain
- hadoop
- django
- Java
- programming_book
- QT
- history
- France
- program
- web
- Linux
- Today
- Total
목록book (149)
인간의 감각을 믿지 마라. 감각에 의존하여 구축된 의식은 더욱 믿지 말지어다. 과학이 일관되게 이야기하는 바다. 인간의 감각은 더 정교한 도구의 검증을 받아야 하며, 인간의 의식은 더 정확한 수학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자연의 진실은 종종 인간의 감각과 의식 그 너머에 있기 때문이다. 인간의 인지 편향과 마찬가지로, 감각을 그대로 받아들이는게 자연스럽고 당연해 보이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는 점을 알고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였다. 주변 사람들에게 종종, 특히 인터뷰에서 나는 사람이 가장 중요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인터뷰 몇 번 만으로는 사람을 바로 알 수 없다고 이야기하는 데 이런 감각/인지 편향에 대한 이야기로 확장하면 좀 더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내 생각을 설명할 수 있단 생각이 들었다. 충..
'파괴'가 진정한 위협인 이유는 무엇일까? ... 변화가 정말로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변혁' 다시 말해 '트랜스포메이션 transformation'이라는 개념은 대단히 훌륭한 아이디어처럼 들리지만, 실상은 달성하기가 무척 어렵다. 아마존은 무수한 계층으로 이뤄진 관료주의에 짓눌려 질식하지 않고 이런 조직 구조를 성공적으로 관리한다. Part 1 아마존의 '문화'에서 배우다 1 당신의 시계를 다시 맞춰라 조직에서 이런 특성들을 구축하는 일은 일회성의 프로젝트로 완료할 수 없다. 게다가 그와 관련해 비즈니스 사례를 수립하기도, 결과를 예상하기도 어려울 것이며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기란 더더욱 힘들 것이다. 그럼에도 당신은 데이터, 기술, 혁신, 완벽함 추구 등이 모든 분야에서 큰변화를 유발하는 강력한 힘..
'파괴'가 진정한 위협인 이유는 무엇일까? ... 변화가 정말로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변혁' 다시 말해 '트랜스포메이션 transformation'이라는 개념은 대단히 훌륭한 아이디어처럼 들리지만, 실상은 달성하기가 무척 어렵다. 아마존은 무수한 계층으로 이뤄진 관료주의에 짓눌려 질식하지 않고 이런 조직 구조를 성공적으로 관리한다. Part 1 아마존의 '문화'에서 배우다 1 당신의 시계를 다시 맞춰라 조직에서 이런 특성들을 구축하는 일은 일회성의 프로젝트로 완료할 수 없다. 게다가 그와 관련해 비즈니스 사례를 수립하기도, 결과를 예상하기도 어려울 것이며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기란 더더욱 힘들 것이다. 그럼에도 당신은 데이터, 기술, 혁신, 완벽함 추구 등이 모든 분야에서 큰변화를 유발하는 강력한 힘..
프롤로그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찾아온다 우리는 이 목적에 약이나 백신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야 할지 많은 논쟁을 벌였지만, 최종적으로 '혁신'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그것이 더 광범위하고 강력한 효과를 거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기술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약이나 백신에 대해서만 말한다는 게 매우 제한적으로 보였고, 새로운 10년을 바라보는 과학 연구의 현실성도 반영하지 못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몇 달 뒤 우리는 직원들과 전 세계에 화이자의 새로운 문화를 다음과 같이 간단한 네 단어로 소개하는 캠페인에 착수했다. • 용기 courage: 혁신은 특히 불확실성이나 역경에 직면했을 때 관습에 도전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러려면 크게 생각하고, 목소리를 높이고, 결단력을 가져야 한다. • 탁월함..
시간의 정의 영국의 수학자 로저 펜로즈(Roger Penrose) "상대성에 따르면, 전혀 흐르지 않는 정역학적인 4차원 시공간만 있어야 한다. 시간은 공간과 마찬가지로 흐르지 않는다." 놀랍게도 과거를 미래와 구분해주는 '유일한' 물리학적 법칙은 더운 것에서 찬 것으로(그 반대는 절대 아님) 이동한다는 엔트로피 법칙뿐입니다. 아인슈타인 '시간을 끈질기게 지속되는 환상'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Carlo Rovelli)는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The Order of Time)>에서 “이 장은 상호작용할 때에만 도약하고 요동치고 구체화되며, 최소 층위 이하로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라고 썼지요. 미국의 저술가 댄 포크(Dan Falk), 시간을 찾아서(In Search_of Time) "아주 많은 과학자와 ..
지중해 세계는 흔히 서구 문명의 기원지로 거론된다... 그렇지만 이런 서술은 역사의 실상을 왜곡시킬 우려가 크다. 초기 지중해 세계는 그리스-로마의 독무대가 아니라 대단히 다양한 민족집단들이 한편으로 협력하고 한편으로 투쟁하는 복합적인 역사 흐름이 이어지는 곳이었다... 바다는 다양한 문명들의 혼합을 통해 새로운 문명이 떠오르는 창조적 공간이었다. 세계 전체를 하나의 원리로 설명한 최초의 철학자 탈레스가 밀레투스에서 태어나고, 또 그 하나의 원리를 물이라고 파악하여 '만물의 근원은 물'이라고 주장한 것은 어쩌면 우연이 아니다. 암흑기를 거친 그리스가 곧 '세계를 발견한 것이다. 해양 도시의 부와 문화가 바탕이 되어 세련된 철학을 낳았으니, 그런 점에서 철학의 발상지는 바다였다. 그리스세계와 페르시아제국의..
결혼식이 끝난 뒤 푸거는 막시밀리안과 계약을 맺었다. 이 계약에서 푸거가 승승장구한 한 가지 요인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사회가 자본주의를 억제하는 능력보다 자본주의가 움직이는 속도가 더 빨랐다는 사실이다. 상업은 앞으로 내달리고 있었으나 과도한 질주를 제어할 민주 제도는 그보다 느리게 진화하고 있었으므로 푸거처럼 연줄이 탄탄한 사람은 다른 사정이 어떻든 자신의 뜻을 관철시킬 수있었다. 그는 독자들에게 투자 조언을 해 주었는데, 아마도 그 자신이 푸거에게서 배운 내용들이었을 것이다. 슈바르츠는 사업가는 자산의 3분의 1은 현금으로, 3분의 1은 투자로, 3분의 1은 현물로 보유해야 하며, 언제든 큰 손실을 입을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개인적으로 부동산을 보유해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었..
프롤로그 왜 똑똑한 리더들이 멍청한 의사결정을 할까 “리더가 가장 잘해야 하는 일 중 하나가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리더의 존재 이유에 대해 "직원들이 리더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리더가 직원들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라고 단언했다. 그의 말은 리더십의 본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리더의 오판 1 우리는 서로 같은 생각을 한다: 도대체 왜 바뀌지 않는 걸까? (커뮤니케이션) 왜 아무도 100년 동안 그 이유를 묻지 않았을까 왜 그래야 하는지 묻지 않고 무조건 따르는 집단적 타성Collective inertia 19세기 영국 정부는 지식세Knowledge tax를 도입하고 신문의 페이지 수에 세금을 부과 과거의 방식에 익숙해 있고 기존의 체제를 고수하..
책이 나온지 좀 오래되어서 지금와서 보면 세부적인 부분은 약간 맞지 않는 부분들도 있으나 전체적인 논조는 정말 맞는 이야기. 다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 전체가 바뀌어야 하는데 그걸 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은 과연 뭘까? 과연 우리에게 시간이 남아 있을까? 이 책의 시점에서 이미 8년이 지난 지금을 보면 우리나라의 전성기가 막 지난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만이 든다. PART 1 '창조적 축적, 한국산업의 미래를 여는 키워드 0. 창조적 축적 지향의 패러다임으로 바꾸어야 한다 - 이정동 “제자리에 있고 싶으면 죽어라 뛰어야 한다." 에서 붉은 여왕이 앨리스에게 하는 말이다. 이 붉은 여왕의 나라에서는 주변 세계가 이미 앞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가만히 있으면 뒤처지고, 최소한 주변과 어깨를 나란..
프롤로그 불안의 시대, 어떻게 생존하고 성장할 것인가? '심리적 안전Psychological Satefy'이 조직의 성과, 생산성에 가장 일관되고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불안'이라는 요소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깊게 탐구한 독일의 사회학자 에른스트 디터 란터만Ernst-Dieter Lantermann은 치밀한 네트워크에 갇힌 현대의 복잡한 사회 구조와 맥락으로부터 비롯된 극단적인 불확실성이 우리의 행동과 감정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결국은 고도의 불안감이 개인과 사회 전반에 보편적으로 자리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결과적으로 수많은 기업, 리더, 구성원들은 '심리적 안전'을 외치고 요구하면서도 동시에 극심한 '심리적 불안'을 만들어 내는 심각한 인지부조화에 시달리게 되었다. 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