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pain
- web
- Linux
- comic agile
- programming_book
- Italy
- django
- Book
- psychology
- hadoop
- Malaysia
- agile
- program
- erlang
- ubuntu
- history
- management
- Java
- Software Engineering
- Python
- RFID
- essay
- Kuala Lumpur
- Book review
- MySQL
- leadership
- France
- hbase
- Programming
- QT
- Today
- Total
목록Book review (211)
시간의 정의 영국의 수학자 로저 펜로즈(Roger Penrose) "상대성에 따르면, 전혀 흐르지 않는 정역학적인 4차원 시공간만 있어야 한다. 시간은 공간과 마찬가지로 흐르지 않는다." 놀랍게도 과거를 미래와 구분해주는 '유일한' 물리학적 법칙은 더운 것에서 찬 것으로(그 반대는 절대 아님) 이동한다는 엔트로피 법칙뿐입니다. 아인슈타인 '시간을 끈질기게 지속되는 환상'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Carlo Rovelli)는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The Order of Time)>에서 “이 장은 상호작용할 때에만 도약하고 요동치고 구체화되며, 최소 층위 이하로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라고 썼지요. 미국의 저술가 댄 포크(Dan Falk), 시간을 찾아서(In Search_of Time) "아주 많은 과학자와 ..
PART 1 팀장으로 시작한다는 건 01 내일의 팀장이 오늘 반드시 해야할 일 일 관점에서 '팀원'의 길과 '팀장'의 길은 너무나 다릅니다. 팀원은 자기가 맡은 일을 잘하면 그만이죠. 뛰어난 팀원은 잘하던 일을 좀 더 잘하면 됩니다. 하지만 팀장은 지금껏 안 해봤던 일(관리)을 새로 해야 하거든요. 마치 A 트랙을 쭉 달려왔던 열차가 기차역에서 새로운 B 트랙으로 차선을 변경하는 것과 같습니다. 문제는 이제까지 달려온 관성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A 트랙을 달리던 기억이 편하고 익숙합니다. 사실, 관리의 영역은 눈에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과거처럼 실무를 직접 처리해서 또다시 인정받고 싶은 마음을 버리지 못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02 신임 팀장에게 던지는, 단 하나의 질문 이제는 우리가 직접 ..
PART 1 처음 팀장이 된다는 건 CHAPTER 1 두통의 시작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세 가지 능력 Technical Skill 업무능력은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무 지식과 직무 능력 Human Skill 대인 능력은 동기 유발, 관계 유지, 갈등 해결 능력 등 Conceptual Skill 개념화 능력은 현상을 보고 본질을 파악하여 의미를 부여하며 구조화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능력 CHAPTER 2 열심히 하면 팀장이 되는 줄 알았다 CHAPTER 3 리더가 될 사람은 따로 있다 하위직일 경우 실무적 능력이 중요하고 고위직일수록 대인관계 능력과 의사결정에 필요한 개념화 능력이 필요하다 첫째, 승진을 고성과자에게 주는 보상으로 생각 둘째, 직책 승진과 직위 승진을 동일시 셋째, '리더'가 어떤 능력..
지중해 세계는 흔히 서구 문명의 기원지로 거론된다... 그렇지만 이런 서술은 역사의 실상을 왜곡시킬 우려가 크다. 초기 지중해 세계는 그리스-로마의 독무대가 아니라 대단히 다양한 민족집단들이 한편으로 협력하고 한편으로 투쟁하는 복합적인 역사 흐름이 이어지는 곳이었다... 바다는 다양한 문명들의 혼합을 통해 새로운 문명이 떠오르는 창조적 공간이었다. 세계 전체를 하나의 원리로 설명한 최초의 철학자 탈레스가 밀레투스에서 태어나고, 또 그 하나의 원리를 물이라고 파악하여 '만물의 근원은 물'이라고 주장한 것은 어쩌면 우연이 아니다. 암흑기를 거친 그리스가 곧 '세계를 발견한 것이다. 해양 도시의 부와 문화가 바탕이 되어 세련된 철학을 낳았으니, 그런 점에서 철학의 발상지는 바다였다. 그리스세계와 페르시아제국의..
결혼식이 끝난 뒤 푸거는 막시밀리안과 계약을 맺었다. 이 계약에서 푸거가 승승장구한 한 가지 요인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사회가 자본주의를 억제하는 능력보다 자본주의가 움직이는 속도가 더 빨랐다는 사실이다. 상업은 앞으로 내달리고 있었으나 과도한 질주를 제어할 민주 제도는 그보다 느리게 진화하고 있었으므로 푸거처럼 연줄이 탄탄한 사람은 다른 사정이 어떻든 자신의 뜻을 관철시킬 수있었다. 그는 독자들에게 투자 조언을 해 주었는데, 아마도 그 자신이 푸거에게서 배운 내용들이었을 것이다. 슈바르츠는 사업가는 자산의 3분의 1은 현금으로, 3분의 1은 투자로, 3분의 1은 현물로 보유해야 하며, 언제든 큰 손실을 입을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개인적으로 부동산을 보유해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었..
'전길남, 연결의 탄생' 구본권 저자와의 만남 - YouTube 서문 한국, 아시아, 그리고 전길남이라는 이름 “참 쓸모없는 연구를 하셨군요." 1982년 5월, 한국은 서울대와 구미 전자기술연구소 간에 인터넷 방식TCP/IP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인터넷을 개발한 미국 바깥에서는 첫 사례였다. 그러나 이듬해인 1983년 해당 연구 과제의 연장 여부를 심사하던 정부 평가단은 위와 같이 냉정한 판단을 내렸다. 훗날 정보화 혁명을 가져올 기술이었지만, 당시 한국에서는 '쓸모없는 기술'로 취급받았다. 고도의 정신적 작업은 그에 상응하는 육체적 활동으로 균형을 잡아주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 1 한국행을 결심한 자이니치 소년 60만 명이 넘는 재일 한국인 사회에서 한국 국적을 유지한 도쿄대 교수..
프롤로그 왜 똑똑한 리더들이 멍청한 의사결정을 할까 “리더가 가장 잘해야 하는 일 중 하나가 자신이 틀렸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리더의 존재 이유에 대해 "직원들이 리더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리더가 직원들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라고 단언했다. 그의 말은 리더십의 본질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리더의 오판 1 우리는 서로 같은 생각을 한다: 도대체 왜 바뀌지 않는 걸까? (커뮤니케이션) 왜 아무도 100년 동안 그 이유를 묻지 않았을까 왜 그래야 하는지 묻지 않고 무조건 따르는 집단적 타성Collective inertia 19세기 영국 정부는 지식세Knowledge tax를 도입하고 신문의 페이지 수에 세금을 부과 과거의 방식에 익숙해 있고 기존의 체제를 고수하..
제목은 비전이 들어가고, 그래서 비전 관련된 내용이 주된 부분이긴 하지만, 1부는 초보자에게도 유용하다. 부록을 통해 기본적인 설치 방법도 친절히 알려주기 때문에 처음 시작하는 사람까지는 몰라도 초보자도 따라하며 코드를 실행해볼 수 있다(다만 아쉬운 점은 Mac M1에서는 책의 안내대로 설치해서는 실습을 진행할 수 없다는 부분이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비전도 이미 많은 연구가 이뤄졌고, 알려졌다시피 DL중에서 가장 발전한 분야이기도 하므로 그만큼 성숙했기에 초보자는 어디부터 접근하고 시작할지부터 어려울 수 있다. 이 책은 그런 관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수학을 깊이 파고들지 않고(기본적인 부분을 다루지, 없다는 뜻이 아니다), 또 현재 산업에서 사용하는 기술에 관계된 부분을 설명하는 데 촛점을..
DOING AGILE RIGHT 조직을 민첩하고 유연하게 바꾸는 애자일 전략 Ask the Authors - Doing Agile Right | Bain & Company 프롤로그 균형 잡힌 애자일 기업으로 나아가기 애자일 agile (혁신을 목표로 빠르게 움직이는 자율경영팀에 의존하는 경영 철학)은 이미 공식적으로 기업 경영의 주요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많은 혁신의 원천인 IT 부문은 사실상 애자일 방법이 지배적인 상황이 되었다. 최근의 통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85퍼센트가 업무에 애자일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Stack Overflow Developer Survey 2018 조사 대상 소프트웨어 개발자 10만 1,592 명 중 85.9퍼센트가 업무에 애자일을 사용 2019년부터는 아예..
Dominica DeGrandis – More No Less WIP 들어가며 스스로에게 과부하를 줄 뿐만 아니라, 팀에도 과부하가 걸린다. 이것이 IT분야의 일상적인 현실이다. 보통 하던 일을 중단하고, 다른 프로젝트에서 일을 시작한다. 항상 방해를 받기 때문에 한 가지 일에 집중해서 제대로 일을 처리할 수가 없다. 문맥 전환context switching은 자리 잡고 앉아 일에 충분히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을 손상시킨다. 결과적으로 업무의 품질이 좋기를 바라지만 불행히도 만족스럽지 않다. 요청의 양(요구 사항)과 사람들이 요청을 처리해야 하는 시간(그들의 수용량은 늘 불균형을 이룬다. 이 때문에 새로운 업무를 시작하기 전에 이미 진행하던 일을 완료하도록 집중할 수 있는 당김 시스템pull system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