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ySQL
- history
- ubuntu
- RFID
- management
- programming_book
- Java
- hbase
- leadership
- hadoop
- QT
- France
- erlang
- Linux
- Book
- Kuala Lumpur
- comic agile
- psychology
- Python
- django
- essay
- web
- agile
- Italy
- Book review
- Spain
- Software Engineering
- program
- Malaysia
- Programming
- Today
- Total
목록JH & HJ (839)
한국사오디세이.4:근현대사 카테고리 역사/문화 > 한국사 > 한국통사 지은이 김정환 (바다출판사, 2008년) 상세보기 2011.03.20~21 4권은 일제 식민 시기와 그 이후 1997년까지의 기간을 다루고 자신의 역사관을 설명하는 부분으로 책을 마무리한다. 저자 스스로도 그렇게 밝히고 있고, 4권을 읽어보면 저자는 확실히 좌파라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부분 부분 여전히 좌파라고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의 발언들도 있다. 저자의 역사관을 설명하는 마지막 부분은 무슨 소린지 영 알아듣지 못하겠고, 시간이 현대에 가까워 올수록 세계사와 병행 설명하는 부분은 어느 정도 의도(아마 세계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한국 역사 흐름의 (뒤늦은) 필연성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닐까싶다)는 이해가 가지만 큰 유기성을 보여주지..
2011.03.18~20 3권은 온전히 조선의 몫이다. 3권을 읽으면서는 저자의 서술 스타일에 조금 익숙해지기도 했고, 또 'A=B' 형태의 서술이 좀 줄어들어서 그런지 1, 2권보다는 편하게 읽힌다. 아무래도 시기상 더 가까운데다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상대적으로) 수많은 사료가 존재하기에 저자의 상상력이 개입할 여지가 조금은 적은 탓이 아닌가 싶다. 서론은 조선은 유교가 정치 경제적으로 조선을 규정짓는념이 되었음을 이야기하고 그 평가를 다음과 같이 내린다. ...삶과 분리된 정치학의 실패라는 점에서 조선사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정치, 경제학의 허점을 예견케 한다. 그러나, 그러므로 조선은 백성의 나라였고, 그 백성이 민중으로 변해간다. 그리고 그들이 한반도의 근대와 현대를 이끌어갈 것이다. 처음 읽었을..
2011.03.14~17 2권은 통일 신라와 고려의 이야기. 신선했던 부분은 거란, 여진이 범 고구려계라고 주장하는 부분이었는데, 역사학도에게 물어보니 환단고기를 믿는 사람들이 주로 하는 주장이라고도 하고, 동북 공정에 대항하려는 정치적인 입장이 개입된 시각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별로였던 부분은 잠깐 언급의 수준이었지만 고려장 이야기. 고려 이야기의 시작과 끝에 한 마디씩 덧붙였는데 사족이 아닐까. 일반적으로 전혀 인정되지 않는 이야기로 알고 있는데. 하지만 최고는 이 부분. ...그러면서도 신라 왕릉은 내내 처녀 젖가슴이다. 왜냐. '적멸'을 위한 불교와 '미래'를 위한 정치의 결합이 이룬 가장 찬란한 장면 중 하나가 신라인들의 조각과 건축예술이다. 마지막으로 왕릉이 모종의, '적멸 혹은 멸망..
http://www.ubuntu.or.kr/viewtopic.php?p=61602 1. partner 저장소 추가: 시스템 -> 관리 -> 소프트웨어 소스 -> 기타 소프트웨어탭 -> 첫 번째 줄 partner 라고 표시된 주소에 체크하고 닫기후 나오는 창에서 다시 읽기 클릭 2. Sun Java 설치: 프로그램 ->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 sun java jdk 검색해 설치 $ sudo add-apt-repository "deb http://archive.canonical.com/ubuntu lucid partner"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sun-java6-jdk
http://fastutil.dsi.unimi.it/ javac -cp .:./fastutil-6.2.2/fastutil-6.2.2.jar TestSpeed.java java -cp .:./fastutil-6.2.2/fastutil-6.2.2.jar TestSpeed Test list speed - puts 1000000 elements for each list 10 times java.util.ArrayList size() = 10000000 elapsed time = 237 ms it.unimi.dsi.fastutil.ints.IntArrayList size() = 10000000 elapsed time = 27 ms Test set speed - puts 1000000 elements for eac..
2011.03.03~10 한국사 오디세이 1 뉴욕에 온 이후 처음으로 한글 책을 읽었다. 도서관에 가서 카드를 발급받고 한국 관련 책을 훑어보는 중에 좋아하는 분야인 역사책이라 별 생각없이 선택했다. 저자는 시인이자 평론가로 재미있고 상상력을 발휘하는 역사책을 쓰기위한 시도로 집필을 했다고 한다. 1권을 읽고나서 생각을 해보니 그래서 오디세이라는 제목을 붙였다는 느낌이 들었다. 트로이 전쟁 후 수십년을 지중해를 떠돌다가 결국 집에 돌아가는 오디세이처럼 독자가 한국사를 탐험할 수 있게 하려는 의도였을까? 흔히 사람들이 생각하는 연대기적이고 딱딱한 역사책에서 탈피하기 위한 모습이 계속 나타나는 것이 이 책의 장점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국사가 선택과목이 되면서 아예 한국 역사에 대해 수업조차 받지 않는 시대가..
2010.08.20~21 왕의투쟁조선의왕,그고독한정치투쟁의권력자 카테고리 역사/문화 > 한국사 > 조선시대 > 조선왕조사 지은이 함규진 (페이퍼로드, 2007년) 상세보기 세종, 연산, 광해, 정조. 조선 시대에 가장 주목받는 왕들의 행적을 바탕으로 왕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이른바 '제왕학'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쓴 책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고 나서 다시 한 번 든 생각은 조선의 한계는 처음부터 성리학* (사실상 주자학)을 나라의 규범으로 삼으면서 태생적으로 규정되어 있었고, 그것을 뛰어넘는 왕은 단 한 명도 없었으며, 신기하게 500년간 지속이 되었을 뿐 사실상 빛나는 시기도 별로 없었던 것 같다는 점이다. 결국 저자나 저자가 소개한 다른 학자들의 평가에 따르면 태종이 양녕대군이 아니라 세종을 선택하..
2010.08.03 http://www.dialogueinthedark.co.kr/ 별 기대 없이 갔는데 의외로 재미있었던 곳. 눈의 비중에 대해 다시 한 번 실감했고, 그곳에서 일하는 시각장애인분들은 이 전시가 끝나면 뭘 하게 될까 걱정도 들었다.
2010.08.01 인셉션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2010 / 영국,미국) 출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타나베 켄,조셉 고든-레빗,마리안 꼬띠아르,엘렌 페이지 상세보기 보러 가기전에 여기 저기서 나온 이야기로는 매트릭스보다 더 어렵다고 해서 기대반 걱정반으로 갔는데 의외로 복잡하지는 않았다. 감독이 잘 설명을 해 놓은건지, 아니면 어려운 부분은 아예 내가 인식도 못한건지... 아무튼 재미있다는 것만은 확실.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6&gid=337253&cid=307165&iid=4719017&oid=140&aid=0000016529&ptype=011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
한국대중음악100대명반인터뷰 카테고리 예술/대중문화 > 음악 > 대중음악 > 한국 대중음악 지은이 박준흠 (선, 2009년) 상세보기 2010.07.18~19 조선시대는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볼 때 시기적으로 앞서 나간 것이 몇 가지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사관에 의해 기록이다. 조선 왕조 실록은 대중의 인식과 달리 우리나라가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몇 안되는 문화 유산 중의 하나이다(명성과 달리 사실 사회적으로 별 영향은 없었던 인쇄술 같은 것에 비교하면). 그러나 최근에는 사회 지도층의 기록 문화에 대한 인식은 천박하기 짝이 없다. 의도적일 지도 모르고(참고). 하지만 뜻을 가진 이들이 있어서 그나마 보존이 조금이나마 되는 것들이 있는데, 내가 좋아하는 스포츠 중 하나인 야구를 예로 들면 스태티즈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