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omic agile
- Python
- leadership
- Programming
- agile
- psychology
- web
- Linux
- erlang
- Italy
- Book
- Malaysia
- France
- RFID
- ubuntu
- history
- hbase
- Software Engineering
- programming_book
- MySQL
- Kuala Lumpur
- hadoop
- Spain
- management
- essay
- Book review
- django
- QT
- program
- Java
- Today
- Total
목록Book review (211)
The Most Important Human Skill: Review of “Framers” 1장 결정 Decisions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인지적 능력을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창출 심성모형 mental model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현실에 대한 표상. 패턴을 볼 수 있고,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할 수 있고, 주변의 상황을 이해 질서를 확립. 핵심적인 것에 집중하고 다른 것은 무시. 현실세계를 시뮬레이션해서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를 예측 세상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감각 필요. 인지의 근원적인 수준이 심성모형을 구성 프레임은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행동하는 방식을 결정. 일반화와 추상화를 가능하게 좋은 선택과 적절한 행동의 기초 우리가 보는 것, 결정하는 것, 그리고 얻을 결과에 영향 논쟁..
Decoding Greatness Book 서론 가진 자의 전략을 내 것으로 만드는 가장 유용한 기술 제1부 탁월함의 암호를 푸는 역설계 접근법 1장 최고들은 무엇이 남다른가 재능, 연습, 역설계는 표면적으로 보이는 것에서 더 깊이 파고들어가 숨겨진 구조를 찾아내는 것 때로는... 합쳐지면 최상의 조화 창의성과 지능, 추진력, 패턴 인식 능력 '실행 가능성'에 집중 비즈니스 모델. 성공하는 비즈니스 전략은 분야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경우가 많다. 창의성은 고립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여러 아이디어의 융합에서 나온다. 독창성은 창의성과 동의어가 아니다... 최초가 되는 것이 최고가 되는 것과 같지는 않다 역설계는 창의성을 가로막는 방해물이 아니다. 2장 숨겨진 패턴을 읽어내는 법 뛰어난 패턴 인식 능력이..
Part 1 피플 애널리틱스 사례 피플 애널리틱스에 대해 내린 핵심 정의 사업성과 향상을 목적으로 통찰 사항이나 통찰 결과 insights 를 발굴해서 제안을 제시하고자 직원과 재직인재군 데이터를 분석함 가장 진일보한 피플 애널리틱스 조직은 일정한 비즈니스 우선 중심의 접근 방식을 사용. 즉, HR 임원진만 아니라 경영 임원진과도 협업 대규모 애널리틱스 팀은 외부 제품팀들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자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마케팅의 고객경험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 내부 고객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걸까? 직원의 업무 몰입, 포지션 재임 기간, 안전한 업무 환경을 추진하는 뛰어난 관리자가 높은 고객 만족도의 핵심 요소 분석 결과의 백미는 사업에서 성과창출에 미치는 영향 요소인 고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실제 요인들을 근..
여러가지 인공지능 관련 책을 활발히 번역하는 박해선님이 또 새로운 책을 진행해서 읽게 되었다. 책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느낀 건 요즘엔 번역하시는 분들도 기술적으로 어지간히 잘 알지 않으면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었다. github repo에 가면 이제는 colab link를 아예 넣어두셔서 정말 one click으로 코드가 돌아가는 걸 볼 수 있게 해놓았다. 이렇게 좋은 책을 읽게도 해주시고 코드도 편히 테스트하게 해주시니 (물론 대가를 받고 하지만) 참 감사한 마음이 든다. 지난 몇 주간 이 분야의 최고 관심사는 단연 ChatGPT인데, transformer model은 바로 이 ChatGPT(GPT-3)의 기초이다(GPT-3뿐만 아니라 사실 다른 많은 최신 NLP model들의 기초이기도 하다). 이 ..
1 BOTTOM-UP CULTURE 가까운 사람의 책임이 더 크다 2 FEEDBACK CULTURE 망하는 회사의 공통점은 직원들의 피드백이 없었다는 것 유명한 셰릴 샌드버그의 이야기. 셰릴 샌드버그에 대한 좋은 이야기야 넘치지만, 끝이 좋지 않아서 예전보단 이렇게 책에서 볼 일이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3 FLAT CULTURE 모두에게 변화에 기여할 기회가 주어진다 4 MANAGE UP 내 상사는 내가 관리한다 매니지업 '상사를 관리한다' '상사가 나를 잘 도와주도록 내가 상사를 돕는다 help your manager help you' • 정보 제공 상사가 알아야 할 정보를 먼저 제공한다. • 도움 요청 상사에게 받아야 할 도움을 스스로 요청한다. • 피드백 요청과 제공 상사에게 먼저 피드백을 ..
개발 매니지먼트를 하기 때문에 해당 부분만 따로 기록해두지만, 바로 이 뒤에도 design system을 통해 UX의 통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부분도 마찬가지로, 단기적으로는 느려져도 장기적으로 속도를 높이는 일은 조직이 어느 정도 커지면 꼭 필요한 순간이 온다. 그 순간이 언제 올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언젠가는 문제가 발생하고 할 수 밖에 없는 순간이 오고, 그때까지 미루면 미룰수록 힘들게 수습하게 된다. 물론 이런 순간도 맞이하지 못하는 경우보다야 행복한 상황이긴 하다. 범람하기 직전 물이 가득 차오른 강둑처럼 아슬아슬한 상태 근원. '속도'만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다른 중요한 일들을 미뤄두었던 일하는 방식이 장애. 이면을 직시해야 할 때 고통스러운 장애 상황을 마주하고서야 '속도'보다 먼저 챙..
https://dgulibrary.tistory.com/822 대통령의 글쓰기 :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에게 배우는 사람을 움직이는 글쓰기 비법 “읽고, 듣기는 결국 쓰고 말하기 위해서다” 저자(강원국 著)는 대우 김우중 회장과 조석래 회장의 스피치라이터를 거쳐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 연설비서관으로 8년간 재직한 매우 독 dgulibrary.tistory.com 1. 말하기를 하고 글쓰기 10시간 정도 말을 할 수 있으면 좀 더 보강을 하면 책을 쓸 수 있음 말하기가 어려운 건 안 해봐서 2. 평소에 쓰기 리더는 말과 글이 준비가 되야하고 그건 자기안에 관점이 있는 것 평소의 준비는 읽기와 쓰기 100개 정도의 단어로 자기 생각을 정리하면 회사 생활에서 필요한 말하기 글쓰기의 소재는 충분할 것 감..
'넛지' 행동을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이끄는 선택 설계의 특정한 측면... 쉬워야 하고 비용도 적게 들어야 한다. 잘못된 가정. 거의 모든 사람은 거의 대부분의 시간에 자신에게 가장 큰 이익을 가져다주는 선택을 한다, 또는 적어도 다른 누군가가 하는 선택보다 더 나은 선택을 한다 경험이나 정보가 없고 피드백도 느리거나 별로 없는 분야에서는 좋은 선택을 할 수 없다. 오해.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할 때 외부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다고 믿는 것 선택 설계는 피할 수 없는 것 1부 인간과 이콘 어림짐작은 매우 유용할 수 있지만 자칫하면 여러 체계적 편향 systematic bias 으로 이어질 수 있다. 어림짐작 혹은 간편 추론법 heuristic 기준점 효과 anchoring 가용성 availability ..
1 유방남 휴스턴 로케츠에서 Marc Gasol의 신체적인 특징으로 붙인 좋지 않은 별명. 전형적인 농구 선수의 신체가 아니긴 하지만, 이런 저급한 별명을 붙였을 줄은 몰랐다. 이것도 양키 감성으로 이해해야 하나? 컨설턴트의 중요한 업무는 불확실한 것을 두고 아주 확실한 척하는 것 사람들이 무언가를 '예측'할 때 그 말이나 행동의 상당 부분은 가짜 완벽한 답은 없지만, 통계를 이용하면 적어도 무작정 추측할 때보다 아주 약간 나은 답 한마디로 '전문가'가 필요했다. 어떤 통계 모델이든 한계가 발생하면 의사 결정에 다시 인간의 판단을 끌어들여야 했다. 도움이 되든 안 되든. 관찰하면 거의 즉각적인 인상을 받곤 했는데, 그러면 다른 모든 데이터가 그 인상을 중심으로 정리되는 경향이 있었다. '확증 편향 con..
1장 팀장은 뭐하는 사람일까? 산소(Oxygen) 프로젝트 - 팀장과 팀원 간의 일대일 관계 중심 최고의 팀장은 좋은 코치다. 코치는 구성원에게 권한을 넘기고 간섭하지 않는다. 심지어 답을 알아도 간섭하지 않는다. 즉, '마이크로 매니징'을 하지 않는다. 구성원의 이야기를 경청하며 구성원과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한다. 내 의견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이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말을 이끌어 낸다. 생산적이며 결과 중심적이다. 직원이 경력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팀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명확한 비전과 전략을 가진다. 팀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조언을 할 수 있도록 전문성과 직무상 스킬을 가진다. 팀원 개인의 성장에 관심을 가지고, 개인적인 상태에 대해서도 관심과 걱정을 표현한다. 더 좋은 곳으로 ..